생활정보박사 - Vehicle

엔진오일

엔진오일이란 엔진의 작동을 돕기 위해 윤활작용을 하는 액체를 뜻합니다. 엔진 안에는 다양한 부품들이 있기에 마찰되는 표면을 윤활시켜 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꾸어 부품이 닳는 것을 방지해줍니다. 윤활이 제대로 되지 않을때는 엔진이 정지되거나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작동부위를 윤활해주는 것이 주목적이기도 하지만 클리닝, 부식방지, 기밀성 강화, 엔진 냉각의 역할도 할 수 있습니다. 엔진오일은 광유와 합성유로 나뉘어집니다.

엔진-엔진오일

광유 엔진오일(Mineral Oil)

원유를 정제하여 생산한 윤활 기유입니다. 그래서 휘발유, 경유와 같은 석유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이며 파라핀계, 나트텐계, 방향족계 오일이 주성분입니다. 순수 원유를 정제하므로 황성분의 불순물이 100% 제거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화학적으로 불안정하여 고온에서 점도가 떨어지고, 슬러지가 자주 발생하기 쉽습니다.

그래서 광유 엔진오일을 택하게 되면 교환주기가 짧아진다는 단점이 있으나 원가가 매우 저렴한 편입니다.

합성유 엔진오일(Synthetic Oil)

합성유 엔진오일은 윤활성을 최적화하여 인공적으로 만들어낸 것입니다. 광유의 약점이었던 화학적, 열적 불안정성을 보완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고온에서 점도 저하 및 슬러지 생성이 매우 적은편입니다. 엔진오일 수명을 연장하고, 엔진을 오랫동안 보호할 수 있습니다.용해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첨가제를 사용하여 보완하고 있습니다.

같이 읽어두면 좋은 상식

위 글을 읽다보면 광유와 합성유의 차이점은 첨가제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만, 이것을 나누는 기주는 엔진오일의 80~90%를 차지하는 기유를 광유로 사용했는지 합성유로 사용했는지에 따라 구분합니다.

엔진오일의 교환주기는 없지만 합성유의 교환주기는 광유의 교환주기보다 깁니다. 통상적으로 장거리 고속 주행이 많은 차량의 경우에는 대부분 합성유를 추천합니다. 차종별로 엔진 성능, 속도 및 온도가 달라지므로 차종 권장 엔진오일의 규격과 점도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동차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이스처 업소번트 제대로 알고 사용하기  (0) 2021.03.19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